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울사랑상품권한도
- 상품권이벤트
- 교통비 줄이기
- 온누리상품권기간
- 시장상품권
- 온누리상품권
- 서울사랑상품권구매일
- 서울사랑상품권
- 상품권할인
- 온누리상품권사용처
- 교통비 인상
- 교통비 절약
- 온누리상품권매장
- 온누리상품권할인
- 서울사랑상품권페이백
- 온누리상품권구매
- 서울사랑상품권매장
- 서울사랑상품권가게
- 서울사랑상품권구매시간
- Today
- Total
0부터1까지
국내 엔터기업의 미국 자회사 운영 난항. 본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85181?sid=101
하이브도 CJ ENM도 배탈났다…‘독이 든 성배’ 말나오는 이 회사
美엔터사 인수한 국내대표엔터사 CJ·하이브 1조원 투자해 피프스시즌·이타카 인수했지만 실적 악화에 소속아티스트와 불화설까지 돌아 韓기업 경영 거부감 해석도…“실사 철저해야” 하이브
n.news.naver.com
내용요약
하이브, CJ ENM 등 국내 대표 엔터 기업이 미국 자회사 운영에 난항.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CJ ENM USA 홀딩스는 올 상반기 912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 3417억원 대비 73% 가량 역성장.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은 338억원에서 935억원으로 확대.
CJ ENM USA 홀딩스 실적엔 피프스시즌을 중심으로 50여개 자회사 실적이 포함.
피프스시즌은 지난해 CJ ENM이 약 9300억원 투입해 인수한 미국 영화·드라마 제작사.
피프스시즌 적자 폭이 줄어들지 않으며 CJ ENM 전체 실적에도 악영향.
하나증권은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흑자에서 적자로 수정.
피프스시즌은 투자 유치를 시도 중이지만 자본시장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짐.
CJ ENM은 3억달러(약4000억원) 규모 외부 자금을 투입하기 위해 투자자들을 접촉하고 있지만, 기업가치 평가에서 이견이 갈리며 진도를 못내고 있다고 함.
한 IB 업계 관계자 "여전히 높은 금리 때문에 투자자들은 미래 가능성보다 현재 수익성이 확실한 투자처를 선호"
경영 상황 악화에 피프스시즌은 최근 전체 인력의 12%를 줄이는 인원 감축 결정을 밝히는 등 자구책에 집중.
하이브 또한 미국 현지 엔터사 인수 이후 기대했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금감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타카홀딩스는 이번 상반기 742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914억원에서 19% 상당 위축됨.
동기간 당기순이익은 163억원에서 30억원으로 급감.
당장 실적 축소보다 더 시급한 건 아티스트 관리라는 지적있음.
아리아나 그란데 등 이타카홀딩스 소속 톱스타가 회사와 결별한다는 보도가 미국 빌보드 등에 나옴.
미국 빌보드에 따르면 아리아나 그란데는 스쿠터 브라운, 하이브와 모든 접점을 끊기로 결정했다.
이타카홀딩스는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소속 톱스타가 최대 강점인 기업으로,
이들이 실제 이탈한다면 1조원을 들인 인수합병(M&A)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는 지적.
IB업계 일각에서는 한국 엔터사가 미국 현지 기업 인수후통합(PMI)에 어려움을 겪는건 애초 실사 단계에서 놓친 부분이 있었기 때문으로 봄.
한 증권가 관계자 "처음 피프스시즌 인수를 위해 실사를 진행할때 일회성 비용으로 간주했던 것이 인수 이후에도 지속 발생하면서 현재 적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알려졌다"
"글로벌 제작사 인수라는 실적 때문에 계약을 다소 조급하게 체결한 인상이 있다"고 함.
한국 기업이 미국 엔터사를 경영하는 것에 피인수사 임직원과 아티스트가 거부감을 느낀다는 해석도 있다.
한 엔터테인먼트 업계 관계자는 "K팝과 한국 영화에 대한 인기가 높긴 하지만 한국인이 현지 기업을 직접 인수해 운영하는 건 또 다른 차원"
"여전히 미국 아티스트와 엔터사 임직원들은 아시아인 경영진의 지시를 받는 것을 꺼리는 영향이 있다"고 함.
다만, 한국 엔터사가 세계 시장 점유율을 더 높여야 하는 시점인 만큼 다소간의 시행착오에도 M&A를 지속 시도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 "한국이 해외 엔터사 인수 주체로 등장한 건 전례 없었던 일이기 때문에 일정 부분 실수나 실패는 어쩔수 없다"
"피인수사 경영진을 완전히 한국인으로 교체하거나, 반대로 기존 경영진을 전혀 건드리지 않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며 해외 엔터사 인수에 적합한 모델을 차근차근 만들어가는 수 밖에 없다"
처음에는 극복할 요소가 많을거 같긴 하다.
그럼에도 두드리고 노력하면 한국 경영진을 신뢰하게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톱스타 붙잡는 거 말고, 톱스타를 만드는게 우리나라 엔터인데.
해외에서도 그능력 보여줬음 좋겠다.
'경제문맹에서 벗어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석연료 시대 끝나기 시작? (0) | 2023.09.13 |
---|---|
유럽경제 약해지고 있는중. (0) | 2023.09.12 |
예금·채권 증가. (0) | 2023.09.10 |
9월 공모주. (0) | 2023.09.09 |
노보 노디스크 주가 상승. (1) | 202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