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울사랑상품권
- 온누리상품권구매
- 서울사랑상품권한도
- 서울사랑상품권구매일
- 온누리상품권사용처
- 교통비 줄이기
- 온누리상품권기간
- 상품권이벤트
- 서울사랑상품권페이백
- 교통비 절약
- 교통비 인상
- 상품권할인
- 서울사랑상품권매장
- 온누리상품권매장
- 온누리상품권
- 온누리상품권할인
- 서울사랑상품권가게
- 시장상품권
- 서울사랑상품권구매시간
- Today
- Total
0부터1까지
은행채 7개월 만에 '순발행' 전환 본문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608000539
은행채 7개월 만에 '순발행' 전환···회사채 돈줄 마를라
[서울=뉴스핌] 홍보영 기자 = 지난달 은행채가 7개월 만에 상환보다 신규 발행규모가 더 많은 순발행으로 전환됐다. 은행채 신규 발행 물량이 늘어나고 하반기 120조원에 달하는 차환 발행도 대기
newspim.com
내용 요약
월별 순발행액을 보면 작년 11월부터 올해 1-4월까지 상환규모가 발행규모보다 많았다.
-> 은행채 물량이 감소하며, 시중자금에 여유가 생기고 회사채 수급에도 긍정적 영향.
지난 한달간은 은행채 물량이 전달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남.
-> 금융당국의 은행채 발행 한도 확대와 은행 수익성 악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됨.
금융당국은 지난해 하반기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시장이 경색되자 은행채 발행 축소를 지시한 바 있다.
-> 신용등급 AAA급 초우량 채권인 한전채와 은행채 발행이 늘어나면 채권시장 자금을 흡수해 회사채 수요를 잠식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비율을 점차 올릴 예정.
향후 한달간 빠져나가는 자금 대비 예금,국공채 등 자산 비중을 나타낸 유동성 지표
이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채권 발행 등을 통해 자산을 늘려야 한다.
지난달 자금조달 비용이 낮은 5대 시중은행의 저원가성 예금 7조원 가량이 이탈되는 등 자금 유출도 은행채 발행의 요인으로 보임.
저원가성예금의 금리는 0%대로 은행 수익원의 매우 중요한 재원.
저원가성예금이 감소한 만큼 더 비용이 비싼 은행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은행 입장에서는 수익성이 악화됨.
은행채 물량 폭탄으로 상대로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 발행 금리가 올라가 기업에 부담이 작용할 수 있어 보임.
채권 금리는 가격와 반대로 움직인다.
은행채 공급이 늘어나면 -> 가격은 떨어지고, 금리는 올라간다. -> 회사채도 덩달아 금리를 올려야 하게됨.
https://www.youtube.com/watch?v=EtemNgcspiM
채권 관련 기사는 어렵네...ㅠ 여태까지 별로 관심있게 읽어본 적이 없었으니....
이제부터 유심히 파헤져 보자.
유툽에서 정리해준 내용이 있어서 몇번 다시 봄.
레고랜드 사태는 대체 뭐길래 영향을 이렇게 줬었나. 나 모르게 언제 무슨 일 있었니?!?
내일 확인해봐야겠다.
기사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음.
의문.1) 저원가성 예금이 7조원이나 왜 이탈했을까 ??
-> 이전에도 시중은행들의 저원가성 예금 비중이 줄어들긴 했었음. 인터넷은행의 높은 금리로 인해 자금이 이동함.
특별히 심각하게 줄어든건 아닌거 같음.
의문.2) 수익성이 악화됐는데 채권 발행은 늘려? 폭탄아니냐... 부실채권 되는거 아니냐고..
-> 은행들은 만기가 도래하면 새 채권을 발행해 기존 채권 상환에 나설 수 있음.
LCR 규제 완화가 있으면, 기존채권 물량보다 더 많은 새 채권을 발행할 수 있고, 자금을 넉넉히 확보해둘 수 있음.
하기 기사 참고함.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89521.html)
한전채 쏟아지고 은행채 만기도래…기업 ‘돈줄’ 막힐라
상대적으로 신용등급 낮은 회사들채권 통한 자금조달 어려워질까 우려
www.hani.co.kr
의문.3) 채권 발행이 왜 자산이 늘어나는 거지??
기업이 채권을 발행하면) 구매자는 채권이 자산이 되고, 판매자는 부채가 되는거 아니야?
-> 상기의 기사를 보니까 이해가 되는거 같다. 부채가 되기는 하지만 그만큼 자금도 들어오니까.ㅋ
부채도 늘고 자산도 늘고 다 늘어.
근데 부채는 3년,5년 이런식으로 만기가 도래되기까지 기간이 있지만, 자산은 당장 사용할 수 있는 유동성이 크니까.
한시간 넘게 공부한거 같다.
아직도 전체를 모두 이해한 건 아니다. 레고랜드 알아야됨ㅋ.ㅋ
내일 이어서 해보는 걸루~
'경제문맹에서 벗어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기 뉴스 (0) | 2023.06.11 |
---|---|
가스공사,도로공사,전력공사 채권발행 관련 기사 (0) | 2023.06.10 |
레고랜드 사태 (0) | 2023.06.09 |
'AI 열풍' 엔비디아 시총 1조 돌파 (0) | 2023.06.07 |
RE100(Renewable Energy 100%·재생에너지 100%) (0) | 2023.06.07 |